서울특별시가 주최하는 2025 서울거리공연 구석구석 라이브는 서울 전역의 거리, 관광명소, 공원, 한강변 등 50여 개 장소에서 열리는 대규모 거리 공연 행사입니다. 공개 모집을 통해 선발된 150팀의 아티스트들이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선보이며, 시민들에게 일상 속 문화 예술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구석구석 라이브 주요 공연장소
권역 | 주요 공연장소 |
도심권 | 광화문광장, 돈의문박물관마을, 청계천광장, 정동길, DDP, 남산공원, 동대문패션타운, 명동예술극장, 노들섬, 용산공원, 남인사마당, 세운상가, 청진공원 |
서북권 | 월드컵공원, 상암 하늘공원, 노을공원, 홍제유연, 서울함공원, 서대문독립공원, 신촌 연세로, 구파발 폭포 만남의광장 |
동북권 | 북서울미술관 별광장, 북서울꿈의숲, 우이천, 창포원, 서울풍물시장, 면목역 광장, 중랑 캠핑숲, 정릉시장, 서울숲, 뚝섬 한강공원 |
동남권 | 한성백제박물관, 올림픽공원, 잠실 한강공원, 잠수교, 잠원 한강공원, 반포 한강공원, 코엑스광장, 광나루 한강공원 |
서남권 | 여의도공원, 여의도 한강공원, 강서 한강공원, 방화근린공원, 서울식물원, 오목공원, 낙성대공원, 도림천 수변테라스, 푸른수목원, 금천 한내교, 이수역 버스킹 공연장 |
이 외에도 각 권역별로 공원, 광장, 한강공원, 전통시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공연이 열립니다. 자세한 일정과 장소는 구석구석라이브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석구석 라이브의 공연장소와 일정
공식 홈페이지인 서울거리공연 구석구석라이브 사이트(https://seoulbusking.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나 전화 문의(02-6010-0349)를 통해서도 자세한 공연 일정과 장소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공연 장소별, 날짜별 상세 일정이 매달 업데이트되므로 방문 전 홈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구석구석 라이브 공연장소 (가장 인기 있는 곳)
- 광화문광장: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 명소로, 접근성과 상징성이 높아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자주 열립니다.
- 청계천 및 청계광장: 도심 속 산책로와 연계되어 많은 유동인구가 공연을 자연스럽게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 여의도공원 및 여의도 한강공원: 한강변의 탁 트인 공간에서 대규모 관객이 모이기 쉬워 인기 공연장소로 꼽힙니다.
- 뚝섬 한강공원: 시민들의 선호도가 높아 자주 공연이 열리며, 휴식과 문화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평가받습니다.
- 코엑스광장: 강남권의 대표적 랜드마크로, 접근성과 다양한 연령층의 관객이 모이는 곳입니다.
- 노들섬: 한강 위의 예술섬으로, 특별한 분위기와 다양한 공연이 어우러져 인기가 많습니다.
이 외에도 서울숲, 월드컵공원, 북서울꿈의숲 등이 시민들의 휴식과 문화생활이 결합된 인기 공연장소로 꼽힙니다. 특히 한강공원(뚝섬, 여의도 등)과 도심권(광화문, 청계천 등)은 공연 횟수, 관객 수, 접근성 면에서 매년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 광화문광장과 여의도 한강공원 (가장 많은 시민이 참여하는 곳)
이 두 곳은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 명소이자 접근성이 뛰어나고, 평소에도 많은 유동인구가 모이는 장소로 매년 구석구석 라이브 공연 중 가장 많은 시민이 참여하는 곳으로 꼽힙니다.
특히 광화문광장은 행정·문화의 중심지로 낮과 저녁 시간대에 다양한 연령층이 자연스럽게 공연에 참여하며, 여의도 한강공원은 넓은 공간과 한강변의 특성상 주말과 저녁 시간에 대규모 관객이 모입니다.
이 외에도 뚝섬 한강공원, 청계광장 등 한강공원과 도심광장 일대가 시민 참여도가 높은 공연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울 곳곳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거리 공연을 통해 일상 속에서 특별한 문화 예술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까운 공연 장소와 일정을 확인하시고,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궁중문화축전, 놓치면 후회할 프로그램들
'궁중문화축전'은 매년 대한민국의 대표 궁궐(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과 종묘, 사직단 등에서 열리는 왕실 문화 체험 축제입니다. '궁중문화축전' 문화재청이 주최하고, 한국문
valuenshare.com
종묘 묘현례: 조선 왕실 여성의 유일한 국가 의례를 체험하다
'종묘 묘현례(廟見禮)'는 조선시대 왕비나 세자빈이 혼례를 마친 뒤 종묘에 나아가 조상을 공식적으로 알현하는 의례입니다. 이는 조선 왕실 여성, 즉 왕비와 세자빈만이 참여할 수 있었던 유일
valuensha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