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되 vs 안돼 차이,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
 

안되 vs 안돼 차이,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

비슷하게 들리지만 전혀 다른 뜻을 가진 '안되''안돼'. 많은 분들이 문장 속에서 두 표현을 헷갈려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표현의 차이, 구분법, 정확한 사용 예시까지 간단하게 정리해봤니다.

 

 

✅ 안되 vs 안돼 차이점 한눈에 보기

구분 형태 품사 의미 예시
안되 '안' + '되다' 동사 이루어지지 않거나
허용되지 않음
이게 왜 안되는 거지?
안돼 '안' + '돼' (되다의 활용형) 동사 활용형 명령/금지 의미 그렇게 하면 안돼!

 

✅ "안되"의 뜻과 사용법

  • “안되”는 동사 “되다”의 활용형(흔히 연결형) 앞에 부정 부사 “안”이 붙은 형태입니다.
  • 즉, “안 + 되다 = 안 되다”가 합쳐져 줄여 쓴 모습이 “안되”입니다.
  • 띄어쓰기가 원칙적으로 맞으므로, “안 되다”가 옳은 표기이나, 비격식에서 붙여 쓴 “안되”가 쓰이지만, 표준어는 “안 되다”이고 붙여 쓰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예시)

  • 일이 안 되면 다시 시도하세요.
  • 계획대로 안 되어 걱정이다.
  • 이 일은 안 되겠다.

 

✅ "안돼"의 뜻과 사용법

  • “안돼”는 동사 “되다”의 명령형 “돼”에 부정 부사 “안”이 붙은 상태입니다. 즉, “안 + 돼(되다의 명령형)”가 합쳐진 형태입니다.
  • 주로 명령이나 금지의 의미로 씁니다.
  • 붙여 써야 맞습니다.

예시)

  • 이거 만지면 안돼!
  • 지금 나가면 안돼.
  • 그렇게 하면 안돼.

 

✅ 한눈에 구분하는 법

  • 명령이나 금지의 의미로 쓰이면 '안돼'
  • 단순히 일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면 '안되'
  • 헷갈릴 땐 '되다'로 바꿔보기

 

외우는 요령

  • 명령문(하지 마!): 안돼
  • 상태/결과(되다의 부정): 안 되다

 

👉 더 많은 맞춤법 정보가 궁금하다면?

 

✅ 예문으로 익히는 정확한 사용

문장 정답 설명
오늘은 일이 잘 안돼. X '일이 잘 안되'가 맞음. (되다의 부정)
이건 하면 안돼 O 명령/금지의 의미
컴퓨터가 자꾸 안돼 X '컴퓨터가 자꾸 안되'가 맞음. (작동이 안 되는 상태)
거기 가면 안돼! O 들어가지 말라는 명령

 

  • ‘안돼’는 명령·금지·강조 표현 → “~하지 마!” 의미
  • ‘안되’는 단순히 일이 안 이루어지는 것“~이루어지지 않다” 의미
  • 헷갈릴 땐 “되다”로 바꿔보면 쉽게 구분 가능

 

✅ 더 이상 헷갈리지 마세요!

비슷한 발음 때문에 자주 틀리는 '안돼'와 '안되'. 이번 기회에 정확하게 익히고 글쓰기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보세요.

 

 

묻다, 뭇다, 뭍다 - 맞춤법 정확히 알기

비슷한 발음 때문에 자주 혼동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묻다’, ‘뭇다’, ‘뭍다’입니다. 글을 쓸 때마다 헷갈리셨다면 이번 기회에 정확한 맞춤법과 의미를 정리해 보세요. ✅ ‘묻다’

valuenshare.com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으로 응원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