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는 오래된 공중전화 부스를 활용해 전기오토바이 배터리를 1분 내로 교환할 수 있는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런 부스는 구로구, 동작구, 송파구, 서초구 등 여러 지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2025년까지 1000곳 이상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배달 수요가 많은 강남 지역과 1인 가구 밀집 지역에 우선 설치되고 있습니다.
✅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위치
서울시와 일부 기업에서는 전기이륜차용 배터리 공유 충전소(배터리 교환소)를 운영 중이며, 주요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초구: 방배역 먹자골목 입구, 잠원동 싸리재공원 앞, 언구비 공영주차장 입구, 서초 중앙교회 앞, 미니스톱 방배무지개점 앞, 서래 반포라인아파트 앞, 마산말공원 앞 등 7곳.
- 서울 전역: 구로구, 동작구, 송파구 등에도 공중전화 부스를 개조한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강남지역 및 배달 수요 많은 지역 위주로 약 500여 곳으로 확대 중.
- 대동모빌리티: 서울/경기 내 약 400개 배터리 스테이션(교환소)을 운영하며, 전용 앱(KooRoo)을 통해 상세 위치 확인 가능.
장소 유형 | 위치 예시 |
편의점 | GS25, CU 일부 매장 외부 |
주유소/충전소 |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제휴 부스 |
공공기관/행정복지센터 | 시청, 구청, 주민센터 외부 |
대형 주차장 | 공영 주차장, 대형마트 주차장 등 |
배달 라이더 거점 | 배민, 쿠팡이츠, 요기요 라이더센터 등 |
KooRoo (쿠루) – GS 편의점 기반 스테이션
- 서울, 경기, 경주, 울산 지역의 GS 편의점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약 400여 곳 운영 중입니다. 앱에서 상세 위치 확인 가능
- 서울 강남 청담맥도날드 DT점, 은평 구산점 등에서도 실증 설치됨
부산 지역 스테이션 (에임스‑KT 협력)
- 부산시는 2023년부터 편의점 등 접근성 높은 장소에 40여 기 설치하고, 70기까지 확대 운영 예정
대동모빌리티 BSS (Battery Swapping System)
- 서울·경기·경주·울산 기준 스테이션 수백 곳 운영 중이며, GS 편의점 기반 KooRoo 서비스와 호환 가능
✅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위치 찾는 방법
각 배터리 교환 서비스 앱에서 GPS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교환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 앱:
- 딜리버리히어로 e스테이션
- KST모빌리티 '스테이션' 앱
- 고고로 / GoStation 앱
✅ 교환형 배터리 서비스 브랜드 예시
브랜드명 | 특징 |
딜리버리히어로(바로고/배민 제휴) | 서울 주요 거점에 다수 설치 |
KST모빌리티 (스테이션) | 택시 및 배달 특화, 24시간 이용 가능 |
고고로 (Gogoro) | 대만 기반, 한국 일부 시범 운영 중 |
GS 칼텍스 E-배터리 스테이션 | 주유소 기반 운영, 교통 편의성 우수 |
✅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교환 방법
- 스마트폰에 전용 앱(D-STATION, KooRoo 등)을 설치하고 회원가입 및 배터리 교환 상품을 구매합니다.
- 앱을 이용해 가까운 배터리 교환소 위치를 확인합니다.
- 배터리 교환소에 도착하면 앱을 통해 사용자 인증 및 결제를 진행합니다.
- 지금 사용 중인 배터리를 교환소 슬롯에 반납하고 완충된 배터리로 즉시 교환할 수 있습니다.
- 교환 과정은 약 1분 이내에 완료됩니다.
서울시는 배터리 교환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중전화 부스를 활용해 설치 비용과 접근성을 개선했으며, 이 방식으로 배달용 전기오토바이 운전자의 충전 대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교환 비용
서울시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교환 비용은 사용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할인 정책이 시행 중입니다.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에서 사용하는 배터리 이용료는 월평균 약 16만 원 수준인데, 일부 사업자는 20% 정도 할인을 받아 약 13만 원 수준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는 전기오토바이 구매 시 보조금을 10%에서 30%로 확대하고, 제조사 할인과 시 보조금을 합쳐 최대 65만 원까지 혜택을 줄 수 있으며, 배터리 이용료 할인도 함께 진행 중입니다.
즉, 배터리 교환 서비스는 정액 요금 형태로 월 사용료를 내는 방식이며, 할인 혜택을 받으면 월 13만 원 안팎의 비용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체적인 요금제와 할인 조건은 충전소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