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기생충 감염 경로, 치료방법
 

고양이 기생충 감염 경로, 치료방법

고양이의 기생충 감염은 실내외 환경에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하면 건강을 위협하거나 사람에게 전염될 수도 있습니다. 감염 경로와 증상, 치료방법을 알아봅니다.

 

 

✅ 고양이 기생충 감염 경로

고양이는 실내외 환경에 상관없이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감염 경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 분변 및 알: 감염된 동물의 대변 속 기생충 알이 흙, 풀, 모래 등에 퍼져 고양이의 발에 묻거나 입을 통해 체내로 유입됩니다.
  • 설치류·곤충 섭취: 감염된 쥐, 벌레, 벼룩 등을 사냥해 먹거나 핥으면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어미 고양이의 모유: 감염된 어미의 젖을 먹을 때 새끼에게 전염됩니다.
  • 공동 화장실 사용: 여러 고양이가 하나의 화장실을 쓰는 경우 전염률이 높아집니다.
  • 오염된 날고기, 날생선 섭취: 덜 익은 고기·생선을 통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 실내 감염 경로: 외출 후 사람의 신발, 옷을 통해 집 안에 기생충 알이나 매개체가 유입될 수 있습니다
구분 감염경로 예시
외부 기생충 진드기, 벼룩 등에 물려 감염 (→ 조충, 바베시아 등)
내부 기생충 - 감염된 쥐, 새, 곤충 섭취
- 오염된 음식, 흙을 통해 감염됨 (→ 회충, 촌충, 편모충, 톡소플라스마 등)
수직 감염 어미 고양이로부터 태아나 새끼에게 전파됨 (→ 회충 등)
사람 또는 물품 전파 사람 신발, 옷, 가구, 물품 등을 통해 알이 옮겨짐

 

 

✅ 기생충 감염 증상

감염된 기생충 종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기생충 종류 대표 증상
회충 설사, 구토, 체중 감소, 복부 팽창
조충 항문 주변 긁음, 쌀알 모양의 기생충 발견
편모충(지알디아) 악취 나는 설사, 복통, 탈수
벼룩 가려움, 긁기, 피부염, 탈모
진드기 피부에 혹, 빈혈, 피부병
톡소플라스마 대부분 무증상이나 면역 약하면 발열, 구토
폐충 기침, 식욕저하, 호흡곤란, 심한 경우 폐렴

 

 

✅ 기생충 정기 검사

정기적인 분변 검사와 혈액 검사로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 최소 연 1~2회 추천됩니다.

  • 분변 검사: 알·기생충 유무 확인
  • 혈액 검사, 항원 키트: 종류에 따라 필요
  • 영상진단: 심장사상충, 폐충 등 특수 감염 시 사용

 

✅ 기생충별 치료법

  • 내부 기생충: 펜벤다졸, 프라지콴텔 등 구충제 사용
  • 외부 기생충: 피프로닐, 셀라멕틴 등 스팟온, 스프레이 제품 사용
  • 편모충: 메트로니다졸 등 항원충제 투여
기생충 종류 치료제 예시 비고
회충/조충 펜벤다졸, 프라지콴텔 등 구충제 2~3주 간격으로 반복 투약 필요
벼룩/진드기 피프로닐, 셀라멕틴 등 외부 기생충약 스팟온, 스프레이, 목걸이 형태
편모충 메트로니다졸 등 항원충제 항생제와 병용시 효과 상승
톡소플라스마 클린다마이신 등 항생제 감염 예방이 중요

 

✅ 예방수칙

  • 실내 위생 철저히 (사료 보관, 화장실 청결 유지)
  • 생식, 날고기 급여 금지
  • 고양이 화장실 및 사료통 청결 유지
  • 외출 후 털, 발, 항문 주변 닦아주기
  • 정기적인 구충제 투약
  • 외출 후 검사 예약하기

 

✅ 보호자 주의사항

  • 기생충 중 일부는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으니 어린이, 임산부, 면역력 약한 가족이 있다면 반드시 예방에 신경 써야 합니다.
  • 고양이와 함께 생활하는 경우, 가족도 정기적인 검진 권장

 

✅ 함께 보면 좋은 링크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부탁드려요^^